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2964(Print)
ISSN : 2287-3317(Online)
Annals of Animal Resource Sciences Vol.54 No.1 pp.39-49
DOI :

FMD(구제역)가 소비자의 국내산 축산물 구매패턴에 미치는 영향 -춘천시를 중심-

신해식, 노성훈, 김희걸, 최준식, 황마이, 양형조, 이종인*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Impact Analysis on Consumer's Consumption Patterns for FMD in Domestic Livestock Products

Jong-In Lee*, Hae-Shik Shin, Sung-Hoon Roh, Jin xi Jie, June sik Choi, Huang Mai Phoung, Hyung Jo Yang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This survey focused on consumer's consumption patterns for buying factors of domestic live stock productsafter foot and mouth disease (FMD). The purpose of this survey was to suggest basic information to reduceconsumption when livestock diseases are occurred. Two methods were used for this survey. First method wasto investigate internal data to understand consumption patterns when buying domestic livestock products.Second method included empirical analysis to understand how FMD affected consumer's consumption pattern.Survey was conducted in Chuncheon city. As the result of this survey, factors that affected the buying patternsof domestic livestock products were brand and expiration date.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consumersrecognized brand livestock products were safer than general livestock products and they have more interest forfood safety than quality attributes of food when buying domestic livestock products.

I. 서론

 우리나라의 국민소득이 높아짐에 따라 생활방식에는 많은 변화가 발생하였다. ‘웰빙’과 같이 건강을 중요시 하는 것이 삶의 중요한 가치관이 되었다. 식생활에서도 육류소비가 증가하는 등의 서구적 식습관이 자리 잡기 시작했다. 이와 같은 삶의 가치관의 변화와 바뀌어 가는 식습관은 농축산업 생산측면에서도 변화를 불러일으켰다.

 먼저, ‘웰빙’과 같이 건강을 중요시하는 것이 삶의 중요한 가치관이 되면서 소비자들은 식품 구입 시 안전성을 중요한 구매 요인으로 여기기 시작했다. 특히 식품사고나 FMD(foot mouth disease; 구제역), 광우병과 조류독감과 같은 가축질병이 발생하였을 때 소비자들은 안전성에 대하여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또한, 소비자들의 육류소비량의 증가(94년 25.8 kg에서 07년 35.7 kg으로 약 38.3% 증가)는 축산업을 발전 시켰으며 이로 인해 국내 축산업이 농업에 미치는 비중 또한 점차 더 커지고 있다. 축산업의 발전으로 인해 축산업과 관련한 연관 산업(유통·가공·외식 등)도 크게 발달하고 있다.

 하지만 이렇게 국내 축산업의 규모가 커져가는 시기에서 제한된 사육규모와 열악한 사육환경, 관리소홀로 인한 FMD 및 조류독감 등의 가축질병의 빈번한 발생은 국내 축산업의 발전에 큰 문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가축질병으로 인한 연간 축종별 농가 전체 손실액을 추정한 관련 연구결과에 따르면 육우는 약 403∼1,695억원, 젖소는 427∼1,081억원, 돼지는 6,953∼11,840억원, 닭은 약 685억원의 농가 수입손실이 발생하며, 질병치료비로 연간 2,256∼2,852억원이 별도로 지출되는 것으로 예측되며 발생 후 경제적 손실은 FMD의 경우 직접피해액만 2000년 3,006억원, 2002년 1,434억원이었으며 발생에 따른 간접비용은 직접손실비용보다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1)  뿐만 아니라 가축질병 발생은 식품안전성에 민감한 소비자들에게 식품안전성의 위협으로 작용하여 발생 기간 동안 소비자들의 축산물 소비를 감소시키고 장기간 소비심리를 위축시키며 축산업의 피해를 장기화 시키고 있다.

*주석
1) 경남발전연구원 경제·산업연구실, 2009년 6월, 구제역과 가축질병 예방을 위한 방역인력 및 연구기반 확대 필요, 경남발전연구원, 보도자료, 요약

 최근 발생한 FMD는 2010년 11월 28일 발병해 2011년 4월 20일 까지 144일 간 지속되었으며 발생건수 153건(소, 돼지)로 11개 시·도, 75개 시·군(전북, 전남, 제주 제외)에 걸쳐 전국적으로 발생하였다. 이로 인한 피해규모는 매몰보상금 1조 8,586억원, 생계안정 자금 232억원, 가축입식 자금 236억원과 2차 피해에 대한 자금까지 더해 2조 1,454억원으로 우리나라에서 FMD가 발생한 이래로 가장 큰 피해를 끼쳤다.2)  이와 같은 가축질병의 발생은 국내 축산업의 발전을 저해하는 큰 문제점이다. 앞으로 발생할 수 있는 가축질병으로 인한 생산농가 및 관련업계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가축질병이 발생하지 않도록 근본적인 대책마련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지만, 향후 가축 질병이 발생하였을 때의 축산물 소비감소를 최소화하고 빠르게 소비자의 소비심리를 회복하는 것도 중요한 문제이다.

*주석
2) 황규석, 2011, 구제역 발생이 축산업에 미친 영향, 한국푸드시스템연구회, 발표자료 요약

 이에 본 연구에서는 FMD로 인한 소비자들의 국내산 축산물의 구매패턴 변화에 대한 조사와 FMD가 소비자들의 국내산 축산물 구매 요인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파악하여 향후 발생할 수도 있는 가축질병 발생 시 국내산 축산물의 소비감소를 최소화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2. 연구의 방법

1) 연구의 방법 및 체계

 본 연구를 위하여 1단계 연구의 배경 및 목적을 파악하고 연구의 체계와 방법을 설정한다. 2단계로 소비자 조사를 바탕으로 FMD 이후 소비자들의 국내산 축산물 구매패턴과 국내산 축산물에 대한 인식에 어떠한 변화가 발생하였는지를 분석하고 FMD 발생이 국내산 축산물의 구매요인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 분석한다. 3단계 분석결과를 요약하고 향후 가축질병 발생 시 발생하는 소비 감소의 최소화를 위한 방법을 제언한다. 설문조사는 춘천에 거주하고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조사원들이 직접 설문지를 나누어주고 회수하는 방식으로 면접조사법의 하나인 자계식 조사3),4) 법으로 하였다. 조사기간은 FMD 종료 후(4. 20.) 두 달이 지난시점인 6월 27일과 28일 이틀간 진행하였다. 설문 장소는 춘천에 있는 하나로 마트에서 하였으며 설문지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1. 응답자의 인구통계적인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문항
2. FMD 관련 사항
3. FMD 전 후 국내산 축산물 구매패턴
4. FMD에 관한 인식

 *주석
3) 조사대상 자신이 조사표상의 질문을 읽고, 조사대상 자신의 손으로 조사표에 기입해 받는 방법
4) 노형진, 2010, EXCEL에 의한 조사방법 및 통계분석, 한울출판사, p4.

 설문조사 후 회수된 설문지 중 결측치를 뺀 401부의 설문지를 바탕으로 통계프로그램 SPSS. 12를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FMD 이후 소비자들의 구매패턴의 변화와 축산업의 인식의 변화, FMD가 국내산 축산물의 구입 시 고려하는 요인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 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Ⅱ. 분석결과

1. 조사자들의 인구통계적인 특성

 조사자들의 인구통계적인 특성은 다음과 같다(Table 1). 성별은 남성 127명(34.5%), 여성 241명(64.5%)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많았으며 연령은 20대 41명(11.1%), 30대 73명(19.8%), 40대 151명(41.0%), 50대 78명(21.2%), 60대 이상 25명(6.8%)으로 40대가 가장 많았다. 학력은 초등 졸 이하 2명(0.5%), 중졸 11명(3.0%), 고졸 135명(36.8%), 대졸 199명(54.2%), 대졸 이상 20명(5.4%)로 대졸자가 가장 많았으며, 수입은 100만원 미만 18명(5.0%), 200만원 미만 60명(16.5%), 300만원 미만 90명(24.8%), 400만원 미만 71명(19.6%), 500만원 미만 71명(19.6%), 500만원 이상 53명(14.6%)로 400만원 미만과 500만원 미만이 가장 많았으며 직업은 전업주부 102명(28.0%), 회사원 83명(22.8%), 학생 63명(17.3%), 자영업 43명(11.8%), 공무원 25명(6.9%), 기타 48명(13.2%)로 조사 되었다.

Table.1.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2. 소비자들의 FMD(구제역)발생기간 / 후 구매패턴

최근 FMD 발생으로 인해 소비자들의 국내산 축산물의 구매패턴에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FMD 발생기간과 FMD 종료 후로 나누어 소비자의 국내산 축산물 소비량, 품목, 장소에 대한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1) FMD(구제역) 발생기간(2010. 11. 29∼2011. 4. 4)

 FMD 발생기간 동안 소비자들의 국내축산물의 소비 변화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한 결과 구제역(FMD)발생 이전과 비교했을 때 소비를 줄인 응답자는 259명(70.6%)로 가장 높게 나왔고 소비에 변함이 없는 응답자는 102명(27.8%), 소비를 늘린 응답자는 6명(1.6%)로 조사되었다. FMD 발생기간 동안 응답자의 대부분이 소비를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Table 2).

Table.2. Changes in consumption for domestic livestock products during FMD

 FMD 기간 동안 소비를 구체적으로 얼마나 줄였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FMD 발생 전보다 소비를 줄인 응답자를 대상으로 줄어든 소비량에 대하여 빈도분석을 한 결과 1% 이상∼20% 이하로 소비를 줄인 응답자는 39명(16%), 21% 이상∼40% 이하로 소비를 줄인 응답자는 42명(17.2%), 41% 이상∼60% 이하로 소비를 줄인 응답자는 112명(45.9%), 61% 이상∼80% 이하로 소비를 줄인 응답자는 42명(17.2%), 81% 이상∼100% 소비를 줄인 응답자는 9명(3.7%)로 조사되었다(Table 3).

Table.3. Reduced consumption amount of domestic livestock products during FMD

 FMD 기간 동안 국내산 축산물 중 어떤 품목에서의 소비가 줄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FMD 발생 전보다 소비를 줄인 응답자들을 대상으로 다중응답 분석을 한 결과 일반 한우고기를 줄인 응답자는 140명(24.4%), 브랜드 한우고기를 줄인 응답자는 60명(10.5%), 한우 부산물의 소비를 줄인 응답자는 77명(13.4%), 일반 돼지고기의 소비를 줄인 응답자는 139명(24.3%), 브랜드 돼지고기의 소비를 줄인 응답자는 545명(9.4%), 돼지 부산물의 소비를 줄인 응답자는 59명(10.3%), 육가공품의 소비를 줄인 응답자는 44명(7.7%)로 조사되었다. 조사결과 일반 한우와 일반 돼지고기의 소비감소가 브랜드 한우와 브랜드 돼지고기의 소비감소 보다 크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는 일반 한우와 돼지고기에 비해 브랜드한우와 브랜드 돼지고기가 소비자들에게 안전성면에서 더욱 신뢰를 주는 것으로 해석된다(Table 4).

Table.4. Reduced livestock products during FMD

 FMD 기간 동안 어느 장소에서 소비가 가장 많이 줄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FMD 발생 전보다 소비를 줄인 응답자를 대상으로 빈도분석 한 결과 가정에서 소비를 가장 많이 줄인 응답자는 109명(45.2%), 외식에서 소비를 가장 많이 줄인 응답자는 123명(51.2%), 기타에서 소비를 가장 많이 줄인 응답자는 9명(3.7%)로 조사되어 응답자들은 가정에서 보다 외식에서 소비를 좀 더 줄였다는 사실을 알 수 있으며 이는 FMD 기간 당시 축산물을 취급하는 음식점의 피해가 상당한 것으로 예상된다(Table 5).

Table.5. Places where the respondents reduced consumption most during FMD

2) FMD(구제역) 종료 후(2011. 6. 27. 이후)

 FMD 종료 후 2 달이 지난 시점에서 국내산 축산물에 대한 소비의 변화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 한 결과 FMD 이전과 똑같이 소비를 하는 응답자는 157명(43.5%), FMD 발생 이전만큼은 아니지만 서서히 소비를 늘리고 있는 응답자는 136명(37.7%), FMD 발생 당시 줄어든 소비를 유지하고 있는 응답자는 39명(10.8%), FMD 발생 당시보다 소비를 더 줄인 응답자는 29명(8.0%)으로 조사 되었다. 여기서 중요한 사실은 응답자의 다수는 소비를 천천히 회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FMD 이전과 같은 소비회복에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Table 6).

Table.6. Changes in consumption for domestic livestock products after FMD

FMD 종료 후 국내산 축산물 중 어느 품목에서 소비가 늘었는지 알아보기 위해 FMD 종료 후 소비를 FMD 발생전으로 회복 했거나 서서히 회복 중인 응답자를 대상으로 다중 응답분석 한 결과 일반한우고기의 소비를 늘린 응답자는 66명(26.6%)이고 브랜드 한우고기의 소비를 늘린 응답자는 57명(23.0%), 한우 부산물의 소비를 늘린 응답자는 5명(2.0%), 일반 돼지고기의 소비를 늘린 응답자는 64명(25.8%), 브랜드 돼지고기의 소비를 늘린 응답자는 44명(17.7%) 돼지 부산물의 소비를 늘린 응답자는 5명(2.0%), 육가공품의 소비를 늘린 소비자는 7명(2.8%)로 조사 되었다. FMD 종료 후 에는 일반 한우고기와 일반 돼지고기의 소비증가가 브랜드 한우와 브랜드 돼지고기 보다 높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하지만 FMD 당시 브랜드 한우와 브랜드 돼지고기의 소비감소는 10.5%와 9.4%로 일반 한우고기 24.4%와 일반 돼지고기 24.3%에 비해 감소가 적었다. 다시 말해 FMD의 발생으로 인해 소비의 변화가 심한 품목은 일반 한우고기와 일반 돼지고기로 브랜드 한우와 브랜드 돼지보다 소비 변화폭이 크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는 브랜드 한우와 브랜드 돼지의 경우 일반 한우와 일반 돼지를 사육하는 농가보다 향 후 이와 같은 동물 질병 발생 시 안정적인 출하가 가능 할 것으로 예상되며 피해도 일반 사육농가에 비해 적을 것으로 예상된다(Table 7).

Table.7. Domestic livestock products consumption after FMD

 FMD 종료 후 소비를 늘린 장소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FMD 종료 후 소비를 FMD 발생 전으로 회복 했거나 서서히 회복 중인 응답자를 대상으로 빈도분석 한 결과 가정에서 가장 많이 소비를 늘린 응답자는 110명(66.3%), 외식에서 가장 많이 소비를 늘린 응답자는 49명(29.5%), 기타에서 가장 많이 소비를 늘린 응답자는 7명(4.2%)로 조사되었다. FMD 발생 당시 응답자들이 가장 소비를 많이 줄인 곳은 외식(51.8%)으로 조사되었지만 FMD 종료 후에 대부분의 응답자들이 가정에서 소비를 가장 많이 늘린 것으로 나타나FMD 종료 후에도 축산물을 취급하는 외식업체는 피해가 지속적으로 이어진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Table 8).

Table.8. Places increased livestock products consumption after FMD

3. FMD(구제역) 종료 후 국내산 축산물에 대한 인식

FMD 종료 후 소비자들의 전반적인 국내산 축산물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에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국내 축산물 환경 및 축산물 시장에 대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1) 국내 축산물의 환경 및 축산물 시장에 대한 인식

 FMD 종료 후 국내 축산물 환경 및 축산물 시장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 문항에 대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Table 9). ‘국내 축산물의 사육환경에 대한 의심이 든다’에는 전혀 아니다 11명(30.0%), 아니다 46명(12.7%), 보통이다 126명(34.8%), 그렇다 145명(40.1%), 매우 그렇다 34명(9.4%)으로 조사되어 절반에 가까운 응답자가 국내 축산물의 사육 환경에 대하여 의심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MD가 발생하여도 국내 축산물이 수입 축산물 보다는 안전하다고 생각한다’에는 전혀 아니다 22명(6.0%), 아니다 52명(14.4%), 보통이다 134명(37.0%), 그렇다 123명(34.0%), 매우 그렇다 31명(8.6%)로 조사되어 FMD가 발생하여도 국내축산물을 수입 축산물 보다 안전하다고 생각하는 응답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Table.9. Awareness of domestic livestock environment after FMD

 ‘국내 축산농가에 대한 배려가 생겼다’에는 전혀 아니다 11명(3.0%), 아니다 36명(9.9%), 보통이다 128명(35.4%), 그렇다 157명(43.4%), 매우 그렇다 30명(8.3%)로 조사되어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FMD 이후 국내 축산물 생산농가의 경제를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 이상 국내 축산물은 안전지대에 있지 않다’에는 전혀 아니다 10명(2.7%), 아니다 43(11.8%), 보통이다 125명(34.3%), 그렇다 150명(41.2%), 매우 그렇다 36명(9.9%)로 조사되어 응답자의 절반이 국내 축산물의 안전성에 대하여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MD 발생으로 인해 국내산 축산물의 가격이 올라 소비자의 피해가 크다’에는 전혀 아니다 4명(1.1%), 아니다 12명(3.3%), 보통이다 87명(23.9%), 그렇다 145명(39.8%), 매우 그렇다 116명(31.9%)로 조사되어 응답자의 대부분이 FMD 이후 오른 축산물의 가격으로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국내산 브랜드 축산물과 일반 축산물에 대한 인식

 FMD 종료 후 국내산 브랜드 축산물과 일반 축산물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 문항에 대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Table 10). ‘국내 일반 축산물의 유통체계에 대한 의심이 든다’에는 전혀 아니다 7명(1.9%), 아니다 35명 (9.6%), 보통이다 142명(38.6%), 그렇다 137명(37.7%), 매우 그렇다 42명(11.6%)으로 조사되어 절반의 가까운 응답자가 FMD 종료 후 국내 일반 축산물의 유통체계에 대하여 의심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산 브랜드 축산물의 유통체계가 일반 축산물 보다 믿음이 간다’에는 전혀 아니다 13명(3.6%), 아니다 31명(8.5%), 보통이다 122명(33.6%), 그렇다 152명(41.9%), 매우 그렇다 45명(12.4%)으로 조사되어 절반이 넘는 응답자가 FMD 종료 후 브랜드 축산물의 유통체계를 일반 축산물의 유통체계보다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산 브랜드 축산물의 사육환경이 일반 축산물의 사육환경보다 믿음이 간다’에는 전혀 아니다 15명(4.1%), 아니다 33명(9.1%), 보통이다 151명(41.7%), 그렇다 133명 (36.7%), 매우 그렇다 30명(8.3%)로 조사되어 응답자들이 브랜드 축산물의 사육환경을 일반 축산물의 사육환경에 비해 긍정적으로 생각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able.10. Awareness of domestic brand live stock and domestic general ivestock after FMD

3) FMD(구제역)에 대한 정부의 대처 및 언론매체에 대한 인식

FMD 종료 후 FMD에 대한 정부의 대처 및 언론매체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문항에 대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Table 11). 

Table.11. A w areness of the media and government policy after FM D

 ‘언론매체 및 정부보도에 믿음이 간다’에는 전혀 아니다 54명(14.8%), 아니다 144명(39.6%), 보통이다 135명(37.6%), 그렇다 25명(6.9%), 매우 그렇다 6명(1.6%)로 조사되어 응답자의 절반이 FMD 기간 동안의 언론매체 및 정부보도에 대하여 신뢰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의 국내산 축산물에 대한 정책(방역, 예방포함)에 믿음이 간다’에는 전혀 아니다 39명(10.7%), 아니다 149명(40.9%), 보통이다 136명(37.4%), 그렇다 30명(8.2%), 매우 그렇다 10명(2.7%)으로 응답자의 절반이상이 FMD 당시 축산물에 대한 정부의 정책을 불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FMD(구제역) 당시 국내산 축산물 소비에 영향을 미친 요인

 소비자들의 상품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양하다. 일반적으로 소비자들의 식품소비에는 여러 가지 변수가 요인으로 작용하지만 최근 품질적속성이 식품 구매의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최근 축산물의 경쟁력 제고와 가치창출을 위하여 브랜드 경영체의 가축사육두수 점유비중이 증가하는 추세이며 축산물 시장에서 차지하고 있는 비중이 매년 증가하고 있기에 브랜드 또한 소비자들의 축산물 구매의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최근 소비자들의 육류선택은 예전과 달리 많은 정보에 영향을 받고 있다.5)  특히 이번 FMD와 같이 식품과 관련한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소비자들의 식품 안전성에 대한 우려는 바로 관련 상품의 구매량으로 이어진다. 이 때 식품사고의 정보를 전달하는 언론매체는 소비자들의 상품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판단된다.

 *주석
5)  Schroeder, T. C. and D.R. Mark, 1999를 차주희, 2007, 우육과 돈육의 소비성향에 대한 조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30에서 재인용함

1) 브랜드와 품질적 속성

 FMD 당시 국내산 축산물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어떤 공통적인 개념이 작용하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축산물을 구입할 때 고려하는 요인들을 대상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분석결과 2가지 요인으로 브랜드, 가격, 디자인이 1요인으로 원산지, 유통기한, 신선도, 판매장의 위생, 맛, 품질이 2요인으로 나뉘어졌다(Table 12).

Table.12. Results of factor analysis that affected consumption of domestic livestock products after FMD

 요인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소비자들의 FMD와 관련한 국내산 축산물구매에는 식품의 품질적 속성과 브랜드가 공통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이 축산물과 관련한 상품을 구매할 때 영향을 받는 브랜드와 품질적 속성이 FMD 당시의 소비감소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세우고검증하고자 한다.


1. FMD와 관련하여 소비자들의 국내산 축산물의 수요에 브랜드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2. FMD와 관련하여 품질적속성은 소비자들의 국내산 축산물수요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Y(FMD 당시 줄인 소비량)를 종속변수로 X1(브랜드),  X2(원산지),  X3(유통기한),  X4(신선도),  X5(판매장의 위생), X6(맛),  X7품질)을 독립변수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회귀모형에 다중공선성6) 과 자기상관7) 의 문제는 없었으며 R제곱이 0.11(수정된 R제곱은 0.09)으로 설정한 회귀모형의 종속변수를 설명하는 설명력은 종속변수의 평균으로 예측할 때 보다 오차를 11% 감소시킬 수 있다. 회귀모형의 통계적 유의도는 F-4.454이며 유의확률은 0.000으로 나타나 회귀모형은 모집단을 설명하는데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말할 수 있다. 본 회귀모형의 회귀계수의 검정결과는 브랜드는 t값이 4.492, 유의확률 0.000, 유통기한은 t값-2.462, 유의확률 0,014로 유의수준 0.005(p<0.05)에서 종속변수에 대하여 두 변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다른 변수들을 통제했을 때 국내산 축산물을 구입할 때 브랜드를 한 단계 더 고려할수록 국내산 축산물의 소비의 감소량은 7.6% 정도로 증가하며 다른 변수들을 통제했을 때 유통기한을 한 단계 더 고려할수록 감소량이 6.4% 감소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Y=43.327+7.604×X1-0.038×X2-6.480 ×X3+0.517×X4-3.365×X5+0.647×X6+2.886×X7 

 다음으로 표준화회귀계수(β)를 통해 어떤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할 수 있다. 브랜드가(0.328) 유통기한(-0.218)보다 더 크게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회귀분석결과 국내산 축산물의 소비감소에 브랜드와 유통기한이 미치는 영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Table 13).

Table.13.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qualitative factors on safety and brand

2) 언론매체

 FMD 당시 소비자들은 대중매체를 통하여 FMD에 관한 정보를 얻게 되며 이는 소비자들의 국내산 축산물 소비에도 영향을 준다고 판단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세우고 검증하고자 한다.

1. 대중매체(TV, 신문, 인터넷)의 FMD 관련보도는 FMD와 관련하여 국내산 축산물의 소비에 영향을 끼쳤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Y(FMD 당시 줄인 소비량)를 종속변수로 X1(TV의 FMD 관련 보도), X2(신문의 FMD 관련 보도),  X3(인터넷의 FMD 관련자료)를 독립변수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회귀모형에 다중공선성8) 과 자기상관9) 의 문제는 없었으며 R제곱이 0.03(수정된 R제곱은 0.02)으로 설정한 회귀모형의 종속변수를 설명하는 설명력은 종속변수의 평균으로 예측할 때 보다 오차를 3% 감소시킬 수 있다. 회귀모형의 통계적 유의도는 F-2.990이며 유의확률은 0.031로 나타나 회귀모형은 모집단을 설명하는데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말할 수 있다. 본 회귀모형의 회귀계수의 검정결과 인터넷이 t값 2.795, 유의확률 0.006으로 유의수준 0.005(P<0.05)에서 종속변수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다른 변수들을 통제했을 때 인터넷의 관련 자료가 국내산 축산물 소비에 영향을 끼쳤다고 생각할수록 4% 정도 소비의 감소량이 증가한다.

 다음으로 표준화회귀계수(β)를 통해 어떤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할 수 있다. 이 회귀식에서 종속변수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것은 인터넷(0.180)으로 나타났다. 다중회귀분석결과 국내산 축산물의 소비감소에 인터넷의 영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Table 14).

Table.14.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media

Ⅲ. 요약 및 결론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소비자들의 육류소비는 국내 축산업의 발전에 큰 역할을 했지만 빈번히 발생하는 가축질병으로 인한 소비자들의 해당 가축에 대한 소비 감소는 국내 축산업의 큰 문제점이 되고 있다. 최근 발생한 FMD(2010. 11.29∼2011.4.4)는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FMD 중 가장 기간이 길었으며 피해(직접손실액 3조원 추정)도 가장 컸다. 이와 같이 앞으로 발생할 수 있는 가축질병에 대해 축산업계가 받는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동물 질병이 발생하지 않도록 근본적인 해결책을 마련하는 것이 우선이지만, 발생기간 동안의 소비자들의 소비감소를 최소화하고 소비를 빠르게 회복하는 것도 중요한 문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발생한 FMD가 평소 국내산 축산물을 구입 할 때 고려하는 요인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를 알아보고 향후 가축질병 발생 시 국내산 축산물의 소비감소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소비자들의 식품구매 및 축산물구입 시고려하는 요인들에 대하여 선행연구 및 관련 자료를 검토했으며 실증분석을 위하여 춘천시에 거주하고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자개식 면접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FMD 발생기간 동안 응답자의 대부분은 국내산 축산물에 대한 소비를 줄였다. 대부분의 축산물 관련 품목에서 소비가 줄었지만 일반 축산물의 소비량 감소가 브랜드 축산물보다 컸다. 이는 다시 말해 일반 축산물에 비해 브랜드 축산물을 안전성 면에서 소비자들이 더욱 신뢰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또한 응답자들의 대부분은 외식에서 소비를 줄였으며 그 뒤로 가정에서 소비를 줄였다. 응답자의 절반이상이 외식에서 소비를 줄임으로써 FMD 당시 축산물을 취급하는 레스토랑 등의 연관 산업의 피해도 컸을 것으로 예상된다.

 FMD 종료 후 2달이 지난 시점에서는 FMD 당시 소비를 줄였다고 응답한 응답자의 대부분이 소비를 FMD 이전만큼 회복하지 않았으며 서서히 회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 FMD가 종료 된지 2달이 지났지만 국내산 축산물의 소비회복은 FMD 이전으로 돌아가지 않았으며 소비회복에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일반 축산물의 소비가 브랜드 축산물보다 증가했다. 이는 FMD 당시 상황과 비교 했을 때 일반축산물의 소비 증감의 변화가 브랜드 축산물보다 크다는 사실을 알 수 있으며 브랜드 축산물의 경우는 소비의 증감의 폭이 적어 FMD와 같은 가축질병 발생 시에도 소비가 어느 정도 안정적으로 유지된다고 볼 수 있다. 소비는 응답자의 대부분이 가정에서 서서히 늘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식은 그 뒤를 이었다. FMD 당시에는 외식에서 소비를 가장 많이 줄였으며 FMD 종료 후 2달이 지난 시점에서는 그 회복이 가정보다 느리다는 것은 축산물을 취급하는 레스토랑 등의 연관 산업이 받은 피해의 회복도 느리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FMD 종료 후 국내산 축산물의 인식에서는 사육환경에 대하여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의심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응답자의 대부분이 FMD 이후 축산물의 가격이 올라 소비자의 피해가 크다고 생각했다. FMD 당시 정부의 방역체계 및 각종 언론매체의 보도 역시도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신뢰를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회귀분석결과 FMD로 인해 소비자의 국내산 축산물의 구매 요인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은 브랜드와 유통기한 대중매체로 나타났다. 국내산 축산물 구입 시 브랜드를 신경 쓸수록 소비자의 국내산 축산물의 소비감소량은 증가했으며 유통기한을 신경 쓸수록 소비자의 국내산 축산물의 소비감소량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를 신경 쓸수록 국내산 축산물의 소비감소량이 증가한다는 결과는 브랜드를 더 신경 쓰는 소비자 일수록 FMD 당시와 종료 후 일반 축산물의 소비를 줄이고 브랜드 축산물만 구입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이는 소비자가 브랜드는 안전하며 안심할 수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고 사료된다. 유통기한은 식품의 안전성과 관련이 있는 식품의 품질적 속성으로 FMD으로 인해 소비자들이 맛과 품질과 같은 식품의 품질적 속성 보다는 안전성과 관련한 속성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대중매체와 관련하여 축산물 소비에 영향을 끼친 요인으로는 다른 매체들 보다 인터넷의 FMD관련 정보가 크게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논문의 한계점은 춘천시민을 대상으로 한 것으로 우리나라 전체 소비자의 소비성향을 대표할 수는 없다. 하지만 육류소비성향은 대부분의 소비자들이 비슷할 것이라고 가정 하에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철저한 브랜드관리가 필요하다. FMD 이후 소비자들의 국내산 축산물 구입요인에는 브랜드와 식품의 안전성과 관련한 요인이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렇기에 평소 사육농가 및 브랜드 사업체는 브랜드관리를 철저히 하여 소비자의 신뢰를 지키는 것이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브랜드의 신뢰가 무너지면 그 브랜드의 파워는 없어지는 결과를 초래하며 이는 향후 가축질병 발생 시 불리하게 작용할 것이다. 그렇기에 평소에도 브랜드관리를 철저히 하여 소비자의 신뢰를 깨는 일이 없다면 향후 가축질병 발생시에도 브랜드축산물의 소비에는 큰 문제가 없을 것이라 사료된다.

 두 번째, 일반 한우농가와 양돈농가의 브랜드 사업체의 적극 참여가 필요하다. 일반축산물의 경우 브랜드 축산물보다 가축질병 발생 시 소비의 변화가 크다. 이는 브랜드 축산물은 안전하다는 소비자들의 인식이 작용한 결과이다. 그렇기에 가축질병 발생 시 일반 축산물의 불안한 소비변화의 폭을 브랜드화를 통해 줄일 수 있으며 향후 가축질병 발생시에도 국내산 축산물의 소비감소를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이다.

 세 번째, 대중매체 정보의 정확성과 객관성 유지 및 확보가 필요하다. FMD 등의 가축질병 발생 시 대중매체의 정보는 축산물 소비에 영향을 준다. 본 논문의 조사결과 국내 축산물 소비에 다른 매체들 보다 인터넷의 영향력이 크게 나타났다는 것은 다른 대중매체와 달리 인터넷의 정보를 더욱 신뢰 한다고 해석된다. 소비자들은 가축질병과 같은 식품사고 발생 시 객관적인 정보를 원한다. 정보를 전달 받았을 때 그 정보를 신뢰하지 못하면 소비자들은 혼란에 빠지며 이는 소비에도 악영향을 준다. 그렇기에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하여 소비자들의 신뢰를 쌓는 것이 중요하다. 향 후 가축질병과 같은 식품사고의 발생 시 객관적인 정보만을 전달하여 소비자들이 불안에 빠지지 않게만 해도 소비감소를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사사

 본 연구는 우당학술진흥재단의 지원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노성훈의 석사학위논문으로도 활용이 되었습니다.

Reference

1.경남발전연구원 경제•산업연구실, 2009년 6월, 구제역과 가축질병 예방을 위한 방역인력 및 연구기반 확대 필요.경남발전연구원. 보도자료.
2.김민수. 2009. 주부의 돼지고기 소비행태에 관한조사.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김성웅. 2005. 쇠고기 브랜드육에 대한 소비자 반응과 브랜드화 정착방안. 농업경영•정책연구
4.김춘수. 2011. 축산물의 소비행태와 소비자 태도에 관한연구. 인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노형진. 2010. EXCEL에 의한 조사방법 및 통계분석. 한울출판사.
6.서의훈. 2010. SPSS18.0을 이용한 통계분석. 자유아카데미.
7.이병오. 2004. 축산물의 안전성 확보 전략. 농업경영•정책연구.
8.윤창호. 2009. 친환경 축산물의 소비성향에 관한 연구: 도시 소비자를 중심으로. 목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이소영. 2010. 육류의 품질적 속성이 소비선택에 미치는 영향분석. 한국축산경영학회.
10.이정희. 1999. 도시가계의 분기별 육류수요분석. 한국축산경영학회.
11.장동헌, 유창주. 2009. 소비자의 쇠고기 구매행태조사연구. 한국식품유통학회.
12.조희경. 2011. 구제역 발생과 학교급식의 영향에 관한 고찰. 울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차주희. 2007. 우육과 돈육의 소비성향에 대한 조사연구:광주시민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최성락. 2010. 식품 사고 분석을 통한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활성화 방안. 조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최승철, 연규영, 김태경. 2004. 돈육브랜드 자산가치와 소비자 구매의도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농업경제학회.
16.최승철, 연규형, 이병오. 2004. 식품에 대한 소비자 선호 및 안전성 인식구조. 농업경영정책연구.
17.축산물브랜드 중장기발전계획, 2006. 2. 10. 농림부 보도자료.
18.황규석. 2011. 구제역 발생이 축산업에 미친 영향. 한국 푸드시스템연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