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2287-3317(Online)
DOI : https://doi.org/10.12718/AARS.2013.24.1.60
정선군 한우산업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 사육두수 확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velopment Plan of Korean Cattle Industry in Jeongseon : In Case of Increasing Scale
Abstract
- 24-1-60.pdf220.2KB
Ⅰ. 서론
국내 쇠고기 시장은 DDA 협상과 한·미 FTA 등 시장개방으로 생산자와 지역 간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Song et al., 2012). 또한 2010년 11월 경북 안동에서 시작된 구제역으로 인하여 한우 16만두와 돼지 332만두가 매몰되어 전국적으로 축산은 크게 위축되었다. 구제역으로 한우가 매몰되기는 하였지만, 그 동안 한우산업은 좋은 한우 가격과 브랜드화 등을 통한 고급육 사육 증가로 생산지에서 한우사육두수는 과잉되었다. 2009년 전국의 한우 사육호수, 사육두수 및 호당 사육두수는 2005년도 비해 각각 -5.7%, 33.6%, 41.7% 증감이 있었는데, 그 중 강원도에서는 각각 -16.1%, 53.8%, 83.3%의 변화가 있었다. 한편, 정선군에서는 2010년 9월 현재 892농가에서 9,180두의 한우를 사육하고 있다. 이 중 20두 미만의 사육두수가 대부분 차지하고 있다. 호당 20두 미만의 사육규모는 전국 41.7%, 강원도 83.3%, 그리고 정선군이 89.7%로 강원도가 전국 사육규모에 비해 호당사육두수가 매우 적다. 특히 정선은 사육규모/가구당에서 매우 열악한 실정을 보이고 있다.
정선군은 대부분이 산악지형으로 답(논)이 없는 지역으로 우리나라에서 조사료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볏짚이 거의 생산되지 않는 지역이다. 따라서 정선군은 타 지역에 비해 조사료 생산이 열악하고, 조사료 수급에서도 산간지역에 위치해 있어 물류수송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조사료 수급뿐만 아니라 한우에 급여되는 배합사료의 수급에서도 타 지역에 비해 고가의 사료를 공급받기 때문에 한우의 생산비용이 높다. 그러나 이러한 단점을 장점으로 활용할 수 있는 지역으로 탈바꿈 하는 계기가 필요하다. 즉, 볏짚 대신 산간지역에서 생산하는 약용식물의 부산물 이용, 정선지역에 적합한 조사료 품종 선택 및 개발, 중국으로부터의 조사료 수입루트 개발, 저렴한 사료공급을 위한 물류창고 제도화 등으로 친환경적이고 저비용 고효율적인 생산시스템 적용으로 충분히 어려움 환경을 극복하여 정선군 한우 산업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
정선한우의 미래 비전은 아직까지 사육기반이 열악하나 한우 사육두수 확대, 조사료생산기반 조성, 유통구조 개선 및 차별화된 브랜드 개발 등을 통해 대비한다면 충분히 국내외적으로 차별화되고 인정받는 정선한우산업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전국 및 강원도에서도 환경적으로 지역적으로 한우 산업을 발전시키고 안정화 시킬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정선군의 고랭지 채소가 식생활 변화, 김치냉장고 등의 보급으로 경쟁력이 약화되어 전체 농가들의 소득과 경쟁력이 감소되면서 이에 대한 대체산업으로서 현재 열악한 정선의 한우산업을 정선군 농촌경제에 활력을 주는 산업으로 추진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2010년 9월 현재 정선군의 한우사육현황은 901농가에서 약 9,000두를 사육하고 있으며, 인근 영월군의 12,000두와 평창군의 15,008두에 비하여 사육두수가 적으며, 규모별 사육두수도 10두 이하를 사육하고 있는 농가가 총 901농가 중 718농가로, 호당평균 약 10두로 영세성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어 규모 확대를 통한 경쟁력 확보가 절실히 필요하다.
한우산업에 대한 연구는 주로 사육과 번식, 유통을 위주로 하는 농업 마케팅에서 주요한 연구를 진행해 왔다. 한우의 발전방향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Kwon(1998)은 한우산업의 정책방향에 대해 연구를, Jeong과 Lee(2012)는 한우산업 유통개선과 소비자 선호변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특정된 브랜드 혹은 지역 한우에 대해서도 연구가 진행되었는데 Shin과 Shin(2009)은 강원도 브랜드인 하이록한우의 브랜드 발전방향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Song 등(2012)은 한우 브랜드 사업의 성장단계별 발전 전략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선군 한우산업 발전의 대비책인 사육두수 확대를 목적으로 농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첫째, 요인분석을 이용하여 농가에서 한우의 사육두수 확대에 필요한 지원은 무엇인가를 요인별로 규명하고자 한다. 둘째, 도출한 요인들에 대한 군집분석을 진행하여 요인별 세분화를 진행하려 한다. 셋째, 정선한우와 전반 한우산업에 시사점을 제시하려 한다.
Ⅱ. 연구방법
1. 조사의 설계 및 자료 수집
본 연구에서는 정선군 한우산업 발전의 대비책인 사육두수 확대를 중심으로 농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지는 농가 일반현황, 한우사육 현황 및 사육의향, 한우사육 확대를 위한 사업 등 3개 부분으로 나뉘어졌다. 또한 전문가 및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설문내용을 수정·보완하였다.
설문조사는 정선군의 한우를 키우는 농가를 대상으로 2011년 5월 초순에 실시하였으며, 편의추출법을 통한 자기기입식 설문방법을 사용하였다. 설문조사 후 회수된 설문지에서 결측치를 제외한 215부의 설문지를 이용하여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2. 분석방법
본 연구에서는 정선군 한우 사육두수 확대에 필요한 지원을 요인별로 규명하고, 도출된 요인들에 대한 군집분석을 진행하여 농가의 세분화를 진행하고, 이를 통해 정선군 한우산업의 발전을 위한 시사점과 발전방향을 제시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PSS 18.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요인분석(Factory analysis), 군집분석(Cluster analysis), 다변량 분산분석(MANOVA), 판별분석(Discriminant analysis), 교차분석(Crosstabs)을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요인분석에서 요인추출 방법으로는 주성분 추출법을 사용하였으며, 요인회전 방법은 직각회전의 Varimax 방법을 사용하였다. 군집분석에서는 계층적 군집분석의 일종인 K-군집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를 위한 1차 타당성 검증으로 다변량 분산분석과 사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2차 타당성 검증으로 판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도출된 군집에 대한 세분화를 실시하기 위하여 군집분석 결과에 대한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Ⅲ. 분석결과
1. 빈도분석
표본의 인구통계적 특성
본 연구에서 추출된 샘플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남성 187명(87.0%), 여성 28명(13.0%)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많았다. 학력은 ‘초등학교 졸업 이하’ 71명(33%), ‘중학교 졸업’ 65명(30.2%), ‘고등학교 졸업’ 56명(26%), ‘전문대 졸업’ 12명(5.6%), ‘대학교 졸업 이상’ 11명(5.1%)으로 초등학교 졸업이 가장 많았다. 연령은 ‘30세 미만’ 9명(4.2%), ‘30~39세’ 21명(9.9%), ‘40~49세’ 35명(16.4%), ‘50~59세’ 85명(39.9%), ‘60~60세’ 47명(22.1%), ‘70세 이상’ 16명(7.5%)으로 50대 이상이 전체 응답자의 70% 가까이 차지하게 되었는데 이는 농가인구의 고령화 문제를 반영하고 있다(Table 1).
Table 1.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1
응답농가의 축산경력은 ‘5년 이하’ 37명(17.5%), ‘6~10년’ 33명(15.6%), ‘11~15년’ 27명(12.8%), ‘16~20년’ 36명(17.1%), ‘21년 이상’ 78명(37.0%)으로 15년 이상 경력자가 전체 응답자의 50% 이상을 차지하는 만큼 축산경력이 비교적 풍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육관리는 ‘본인’ 167명(82.7%), ‘배우자’27명(13.4%), ‘고용원’ 0명 (0.0%), ‘자녀’ 2명(1.0%), ‘기타’ 6명(3.0%)으로 거의 대부분이 부부가 사육관리를 책임지고 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최근 3년 동안 한우의 연평균 판매규모는 ‘500만원 미만’ 86명(42.2%), ‘500~999만원’ 51명(25.0%), ‘1000~2999만원’ 34명(16.7%), ‘3000~4999만원’ 16명(7.8%), ‘5000만원 이상’ 17명(8.3%)으로 1000만원 미만이60%이상을 차지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사육규모는 ‘10두 미만’ 88명(41.5%), ‘10~19두’ 36명(17%), ‘20~29두’ 32명(15.1%), ‘30~39두’ 19명(9.0%), ‘40~49두’ 11명(5.2%), ‘50~99두’ 20명(9.4%), ‘100두 이상’ 6명(2.8%)으로 소규모 농가비중이 높음을 알 수 있다. 영농상태는 ‘한우 전업농’ 11명(5.3%), ‘축산전업농’ 8명(3.8%), ‘한우+농업’ 127명(60.8%), ‘축산+농업’ 56명(26.8%), ‘기타’ 7명(3.3%)으로 전업 한우농가보다는 축산업과 농업을 겸하여 진행하는 농가가 비교적 많았다(Table 2).
Table 2.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2
정선군 한우사육 확대에 대한 농가인식
정선군 한우사육 확대에 대한 농가인식을 알아보았다. Table 3은 ‘정선군에서 추진하고 있는 한우 증식사업에 대한 귀하의 생각’에 대한 빈도분석이다. 분석결과 ‘찬성’ 196명(91.6%), ‘반대’ 7명(3.3%), ‘관심 없음’ 11명(5.1%)으로 조사되어 관심이 많음을 알 수 있다.
Table 3. Idea of proliferation Korean beef in Jeongseon-gun
Table 4는 ‘브랜드 또는 TMR 공장이 설치 될 경우 바람직한 운영 주체’의 형태에 대한 빈도분석이다. 분석결과 ‘축협’ 116명(56.0%), ‘농업기술센터’ 41명(19.8%), ‘영농법인’ 30명(14.5%), ‘개인’ 1명(0.5%), ‘한우협회’ 17명(8.2%), ‘기타’ 2명(1.0%)으로 조사되었다.
Table 4. Operating system of the TMR factory or brand
Table 5는 ‘귀하가 생각하는 한우용 사료공급체제를 구축하는 가장 합리적인 방안’에 대한 빈도분석이다. 분석결과 ‘현재와 같이 각자 구입’ 67명(33.5%), ‘TMR 공장 건축’ 103명(51.5%), ‘OEM 방식’ 30명(15.0%) 으로 조사되었다.
Table 5. The most reasonable korean beef feed supply system
Table 6은 ‘정선군 한우 증식은 한우단지화를 중심으로 추진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빈도분석이다. 분석결과 ‘예’ 142명(69.3%), ‘아니오’ 56명(27.3%), ‘관심 없음’ 7명(3.4%)으로 조사되었다.
Table 6. Is complex for Korean beef cattle needed?
Table 7은 ‘정선군의 독자적인 한우 브랜드 개발의 필요성’에 대한 빈도분석이다. 분석결과 ‘예’ 185명(89.4%), ‘아니오’ 15명(7.2%), ‘관심 없음’ 7명(3.4%)으로 조사되었다.
Table 7. Is Jeongseon-gun needed it's own brand?
2. 요인분석 결과
요인분석은 여러 변수들 사이의 상관관계를 기초로 하여 여러 변수들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개념적 특성을 하나의 요인으로 묶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분석방법이다. 즉 요인분석은 측정변수를 묶을 때 상관관계가 높은 것끼리 동질적인 몇 개의 요인으로 묶기 때문에 자료의 양을 줄여 정보를 요약하는 경우나 동일한 개념을 측정하는 변수들이 동일한 요인으로 묶어지는지를 확인하는 경우에 사용한다(Kim, 2008).
본 연구에서는 정선군 한우 증식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변수들의 타당성과 변수들 간에 동질적인 요인으로 묶어 주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분석에서 요인추출 방법으로는 주성분 추출법을 사용하였으며 요인회전 방법은 직각회전의 Varimax 방법을 사용하였다. 요인적재량은 각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의미하는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0.4 이상을 기준으로 하였다. 또한 요인분석 모형의 적합도를 나타내는 Bartlett의 구형성 검증(Dong, 2011)을 방법처럼 실시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4개의 요인으로 나뉘어 졌는데 제1요인(FAC.Ⅰ)은 ‘정성군 한우 축제 개최(a1)’, ‘정선 한우만의 전용사료 개발 및 보급(a2)’, ‘TMR공장 건립(a3)’, ‘행정적 지원을 위한 군 또는 축협의 새로운 조직(a4)’등 정부 및 지자체의 지원으로 이루어 질 수 있는 변수들도 묶여 ‘정부 및 지자체 지원’요인으로 명명하였다. 제2요인(FAC.Ⅱ)은 ‘도축장(b1)’, ‘한우 관광목장(b2)’, ‘가축시장(b3)’ 등 변수들로 묶여 ‘인프라 구축’요인으로 명명하였다. 제3요인(FAC.Ⅲ)은 ‘광역브랜드 추진(c1)’, ‘정선군만의 독자 브랜드 개발(c2)’ 등 브랜드 개발과 추진을 주요로 하는 변수들이 모여‘브랜드 개발’요인으로 명명하였다. 제4요인은 ‘배합사료 및 조사료 물류창고(d1)’, ‘안전한 유통망 확보(d2)’등 유통시스템을 주요로 하는 변수들이 묶여 ‘유통체계 구축’요인으로 명명하였다(Table 8).
Table 8. Results of factor analysis
3. 군집분석 결과
요인분석으로 도출된 4개의 필요요인들을 통하여 참여농가에 대한 세분화를 실시하기 위하여 각 요인들의 총합평균척도를 산출한 후, 계층적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군집분석은 사전에 알려지지 않은 다양한 특성을 지닌 자료들에 대해 유사한 특성을 지닌 집단으로 분류하는데 이용되는 분석기법이다(Kim, 2008). 군집분석은 군집화의 유형에 따라 계층적 군집분석과 비계층적 군집분석으로 나눌 수 있는데 계층적 군집분석은 각 자료가 하나의 군집으로 시작해서 군집화가 계층적으로 진행되면서 군집의 수가 줄어들어 최종적으로 집단을 구분 짓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군집의 수가 3개에서 2개로 줄어들 때 군집계수의 증가율이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하여 군집의 수를 3개로 결정하였다.
군집분석 결과 1군집은 2군집과 3군집에 비해 모든 요인들에서 3점대인 보통 수준으로 나타나 ‘지원 사업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는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2군집은 1군집보다 높게 나타났지만 “유통체계 구축”요인을 제외한 모든 변수에서는 3군집보다 낮게 나타나 ‘유통체계 구축을 필요로 하는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3군집은 모든 요인에서 4점이상의 높은 점수로 나타나 ‘지원사업을 적극적으로 필요로 하는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이는 정선군 한우 사육두수 증식사업에서 대한 지원사업을 필요로 하지 않는 농가, 유통체계 구축을 필요로 하는 농가와 전반 한우증식사업에 대한 지원사업을 적극적으로 필요로 하는 농가로 대별되고 있음을 시사한다(Table 9).
Table 9. Result of cluster analysis
또한 계층적 군집분석의 1차 타당성을 검정(Lee, 2011)하기 위하여 요인분석에서 도출된 4개요인 ‘정부 및 지자체지원’, ‘인프라 구축’, ‘브랜드 개발’, ‘유통체계 구축’을 기준으로 다변량 분산분석(MANOVA)을 실시하였다. 다변량분산분석은 종속변수의 수가 두 개 이상인 경우에 여러 모집단의 평균 벡터를 동시에 비교하는 분석기법이다(Roh, 2011). 분석결과 Pillai's Trace, Wilks's Lamda, Hotelling's Trace, Roy's Largest Root 값들은 모두 유의수준 p<0.01에서 군집 간 4개의 요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Table 10).
Table 10. Multivariate tests
MANOVA 분석은 거시적인 측면에서 검증을 진행한 만큼 미시적인 검증이 필요하다. 미시적인 차원에서 군집별·요인별 구체적인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사후분석(Scheffe Multiple Range Tests)을 실시하였다. 결과 전반적으로 각 요인에 있어서 군집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인프라 구축’ 요인에서는 1군집과 2군집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개발’ 요인에서는 1군집과 2군집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통체계 구축’에서는 1군집과 3군집, 2군집과 3군집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각 요인에 대해서는 군집별 차이가 있는 것으로 설명된다(Table 11).
Table 11. Scheffe Multiple Range Tests
군집분석에 대한 2차 검증으로 종속변수를 군집분석에서 도출된 군집으로, 독립변수를 요인분석에서 도출된 요인으로 설정하여 판별분석을 실시하였다. 판별분석(discriminant analysis)은 어떤 관측대상이 소속하는 그룹을 예측하기 위한 수법이다. 이러한 2차 타당성 검증방법은 정형화된 분석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못한 다변량 분석방법 중의 하나인 군집분석의 결과에 대한 추가적인 타당성을 확보할 수 있다(Lee, 2011). 분석결과 함수 1의 X2값이 203.350으로 p<0.001의 유의확률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정준상관계수는 판별함수의 집단 간의 관련정도를 의미하는데 판별함수1 의 정준상관계수가 0.888로 판별력이 비교적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각 판별함수에 대한 절대값의 크기를 비교해 보면 판별함수 1에서 ‘정부 및 지자체 지원’, ‘인프라 구축’, ‘유통체계 구축’, ‘브랜드 개발’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적중률과 교차유효성이 각각 97.2%와 93.4%로 각 케이스가 올바르게 분류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 실시한 군집분석 결과가 타당하다고 할 수 있다(Table 12).
Table 12. Results of discriminant analysis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세분화된 군집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교차분석(Crosstabs)은 한 변수를 기준으로 다른 변수의 빈도를 교차로 분류하는 교차표 또는 분류표를 작성함으로써 두 변수 간의 독립성과 관련성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다. 교차분석 결과 학력에서만 유의수준 p<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1군집에는 고졸 이상이 가장 많았으며 2군집에는 중졸이 가장 많았고 3군집에는 초등학교 졸업 이하가 가장 많았다. 또한 1군집에서 고등학교 졸업 이상이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데 고학력자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고학력자들이 정책 및 지원에 대한 의뢰와 기대가 낮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3군집에서는 중졸 이하가 84%를 차지하고 있는데 이는 저학력자가 정책 및 지원에 대한 의뢰와 기대가 크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Table 13).
Table 13. Education level of clusters
Ⅳ. 결론
강원도 정선군에서는 9000두의 한우 사육규모를 2만두로 늘여 한우사육규모를 활성화하여 자체 브랜드 생산과 더불어 농가 소득증대와 정선군 축산업 발전을 도모하려 하고 있다. 앞으로도 전국 한우농가는 더욱 더 한우사육에 대한 위기의식으로 한우 사육기반이 위축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위기 속에서 정선한우의 미래 비전은 아직까지 사육기반이 열악하나 한우 사육두수 확대, 조사료생산기반 조성, 유통구조 개선 및 차별화된 브랜드 개발 등을 통해 대비책마련이 절실한 시기라고 생각된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정선군의 한우 농가를 대상으로 한우 증식사업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한우 증식사업에 필요한 지원을 요인별로 분석하였으며 도출한 요인에 대한 군집분석을 진행하여 농가 그룹핑을 진행하였다. 또한 교차분석을 진행하여 농가에 대한 세분화를 진행하였다.
정선군 한우 사육두수의 확대에 대한 농가의식조사 결과 응답농가 중 92%를 초과하는 농가들이 정선군의 한우 20,000두 증식사업을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우 20,000두 증식을 위하여 한우 단지화를 추진하여야 한다고 생각하는 농가가 전체 응답농가의 63%를 차지하였다. ‘앞으로 사육규모는 어떻게 하실 생각이십니까?’라는 질문에는 사육규모를 확대할 계획이 있는 농가가 62%, 현재 수준을 유지할 계획이 있는 농가가 31%를 차지하였다. 이는 정선군 농가들이 한우 증식사업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과 태도를 반영하는바 적극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대중적인 기초가 마련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한우의 가격이 불안정할 경우 사육규모의 확대는 농가의 피해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판로확보나 고급육생산을 위한 사육기반 확충 등 사육규모 확대에 앞서 해결되어야할 문제점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요인분석 결과 각각 ‘정부 및 지자체 지원’ 요인, ‘인프라 구축’ 요인, ‘브랜드 개발’ 요인, ‘유통체계 구축’ 요인 등 4개 요인으로 나뉘어졌다. 이는 현재 정선군 농가가 필요로 하는 지원 사업을 정부 및 지자체 지원, 인프라 구축, 브랜드 개발 및 유통체계 구축으로 단축시킬 수 있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농가의식에 관한 질문인 TMR사료공장이 건립 후 운영단체에 대한 질문에서 개인이 운영하기를 바라는 0.1%의 농가를 제외한 99%의 농가들이 ‘축협 또는 농업기술센터에서 운영하였으면 좋겠다’고 응답하였으며 독자적인 브랜드 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농가가 89%를 차지하였다. 즉 정선군이 한우 사육두수 확대 사업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정부 및 지자체의 지원을 필요로 하며, 구체적으로는 TMR사료 공장의 건립, 자체 브랜드 개발 및 자체유통체계 구축을 필요로 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요인분석에서 도출된 4개 요인을 바탕으로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각각 지원 사업을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는 집단(n=43), 유통체계 구축을 필요로 하는 집단(n=49), 적극적으로 지원 사업을 필요로 하는 집단(n=14) 등 3개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군집분석에 대한 1차 검증으로 다변량 분산분석을 진행하였고 2차 검증으로 판별분석을 진행한 결과 모두 유의하게 나타나 군집분석 결과가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음을 진일보로 증명하였다. 이는 정선군의 한우 사육두수증식사업에 대한 농민들을 모두 3개 부류로 나눌 수 있다는 것을 사료하는데 정부 및 지자체가 정책 제정을 위한 참고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유통체계 구축을 필요로 하는 집단에 속한 농가가 가장 많은 만큼, 안전한 자체 유통체계 구축이 시급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국내외 우수사례를 본받아 농가에게 이익을 줄 수 있는, 군 실정에 알맞은 유통체계구축을 실시하여야 할 것이다.
군집별 인구통계학적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교차분석 결과 학력수준에서만 p<0.05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1군집에서 고등학교 졸업 이상이 50%이상을 차지하고 있는데 학력이 비교적 높은 농가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고학력자들이 정책 및 지원에 대한 의뢰와 기대가 낮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3군집에서는 중졸 이하가 84%를 차지하고 있는데 이는 저학력자가 정책 및 지원에 대한 의뢰와 기대가 크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즉 한우 사육두수 증식사업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인 교육의 실시를 필요로 한다. 정부 및 지자체는 농가의 학력수준에 따른 알맞은 맞춤형 교육을 실시하여야 하며 더욱이 저학력자들에 대한 고무와 격려를 진행하여 한우 사육두수 확대에 대한 자신심과 용기를 주어야 할 것이다. 한편, 요인분석과 군집분석 등을 통해 나타난 각각의 변수와 요인은 한우사육 확대를 주도하는 기관 또는 단체에서 한우사육 증대를 위한 정책을 개발할 경우 중요한 정책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최근 유가상승, 바이오 에너지 생산 등으로 인해 세계 곡물가격의 폭등하고 있어 국내 사료가격이 계속 오르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정선군 한우산업 발전의 대비책인 사육두수 확대를 중심으로 농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요인분석을 이용하여 농가에서 한우의 사육두수 확대에 필요한 지원은 무엇인가를 요인별로 규명하고자 하였고 도출한 요인들에 대한 군집분석을 진행하여 요인별 세분화를 진행하려 하였으며 정선한우와 전반한우산업에 시사점을 제시하려 하였다. 본 연구는 정선군 농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만큼 정선군을 벗어난 전반 한우 산업에 대한 조사로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한우 사육두수 증식사업 등 한우산업의 발전방향에 대한 연구와 활용 가능한 문헌고찰의 한계로 본 연구의 변수의 측정에 다소 제한점이 수반되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한우산업의 발전방향, 패턴 더욱이 세부적이고 구체적인 연구와 논의도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정선군의 한우 농가를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인 만큼 정선군의 한우 20,000두 증식사업에 정책·지원 사업 결정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하며 우리나라 전반 한우 산업의 발전방향에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Reference
2.Roh, H. J. 2011. Research Methods and Statistical analysis. Hak Hyun Sa. Seoul.
3.Lee, C. K. 2011. Tourism Research and Statistical Analysis. Dea Wang Sa. Seoul. pp. 190-192.
4.Lee, C. K., Song, H. J. and Lee, D. E. 2011. Market segmentation of casino visitors: Case of Japanese and Chinese tourists to Korea,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spitality Administration. 20(1):159-172.
5.Shin, H. S. and Shin, D. C. 2009. Development strategy for Hi-Lok Hanwoo brand meat in Gangwon-do, Journal of Agricultural, Life and Environmental Sciences. 20:97-118.
6.Kwon, O. O. 1998. A policy of Korean native cattle. Koream Journal of Agricultural Management and Policy. 25(1):143-159.
7.Jeong, K. S. and Lee, B. O. 2012. Effect of improvement of beef marketing policy on consumers' preference, Koream Journal of Agricultural Management and Policy. 39(2):283-296
8.Dong, L. M. and Lee, J. J. 2011. Effects of service quality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s of 5 star-hotel in China: Centered on Mt. Baekdu area.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spitality Administration. 21(1):21-35.
9.Song, Y. H., Shin, H. S., Choi, M. R., Mustari Mohsin, Jung, Y. P. and Lee, J. I. 2012. Analyses on factors affecting purchasing behaviors for Hoengseong Livestock Cooperative Beef.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Management and Policy. 39(2):170-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