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2287-3317(Online)
DOI : https://doi.org/10.12718/AARS.2013.24.2.157
육우의 출하월령이 도체특성 및 경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laughtering Age on Carcass Characteristics and Economic Efficiency of Holstein Steers
Abstract
- 0001-01-0024-0002-9.pdf173.3KB
Ⅰ. 서론
국내 육우산업은 젖소에서 생산된 연간 약 10만여두 수송아지를 비육해 약 26천톤 정도 쇠고기를 공급하고 있으며 한우와 수입 쇠고기의 중간에서 수입육의 일정 부분을 육우고기가 대체하여 국내 쇠고기 산업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 소비자의 다양한 기호도 및 값싼 가격의 수입육이나 국내산 육우의 소비가 증가함에 따라 육우산업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육우는 한우에 비해 비육기간이 짧고 농후사료 위주로 사육하기 때문에 생산비 중 사료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57.6%로 매우 높으며(‘12, The Statistics Korea), 육질등급에 있어서도 2등급 이하 출현율이 86.7%로 낮은 편이다(’12, APGS). 근래 사료가격의 지속적인 상승으로 생산비가 증가되어 소득이 생산비 이하로 하락하는 경우도 발생되고 있어 사료비 절감과 소득 증대를 위한 다양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과거 유럽에서는 일부 축종의 출하월령 단축이 순수익을 최대화할 수 있는 방안으로 제시되기도 하였다(Amer 등, 1994). 출하시기 연장은 생산비 즉, 사료 소비량이 증가하여 사료효율이 낮아지게 되므로(Marti 등, 2013), 출하월령의 단축은 생산비를 줄이는 바람직한 방안일 수도 있다(Van Koerering 등, 1995).
육량 및 육질특성은 출하월령뿐 아니라 사료의 영양수준, 성별, 유전적인 요인 등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Mark 등, 2000; Pyatt 등, 2005), 출하월령은 생산비 및 소득과 같은 경제적인 요인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최적의 출하시기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홀스타인 거세우는 평균 생후 22개월령에 출하되고 있으며, 출하가 1개월 늘어남에 따라 ㎏ 증체에 소요된 TDN량이 4%정도 증가되어 사료비 부담 또한 늘어나고 있다(Kang 등, 2004). 최근 한우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비육기간을 단축하고자 하는 노력이 제기되고 있지만 출하월령 단축을 위한 연구 및 성과가 뚜렷하게 제시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홀스타인 거세우의 출하월령이 도체 및 육질특성과 경제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적정 출하시기와 가격 하락 시 최적 출하시기를 설정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Ⅱ. 재료 및 방법
1. 공시동물 및 시험기간
본 시험에 이용된 공시가축은 홀스타인 수송아지(생후 4개월령, 체중 160 ㎏) 27두를 공시하여, 2011년 7월 24일부터 2012년 12월 4일까지 508일간 충북 청원군 북이면에 소재하고 있는 시험농장에서 사양시험을 수행하였다.
2. 시험설계 및 사양관리
시험구 배치는 홀스타인 수소 27두를 이용하여 출하월령 별로(생후18, 20 및 22개월) 3처리, 각 처리구당 9두씩 배치하였다. 시험축 사양관리는 3두씩 군집사양 하였으며, 시험사료는 육성기(생후 5∼10개월령), 비육전기(생후 11∼14개월령), 비육후기(생후 15∼22개월령)로 구분하여 단백피, 맥주박 등 농산부산물을 이용한 섬유질배합사료(TMR)를 제조하여 성장단계별로 자유채식하도록 하였고, 시험에 이용된 섬유질배합사료의 일반성분은 AOAC(2006) 방법으로 분석하여 Table 1에 나타내었다. 물은 자동급수조를 이용하여 자유롭게 먹을 수 있도록 하였다.
Table 1. Chemical composition of experimental diets
3. 조사항목
(1) 발육조사
체중조사는 시험 개시일부터 종료 시까지 1개월 간격으로 오전 사료급여 전에 측정하였다. 일당증체량은 이전 체중에서 금회 측정된 체중의 차를 사육 일수로 나누어 구하였다. 사료섭취량은 오전 사료 급여 전 사료 급이기 내의 잔량을 조사한 후 전날 급여량에서 공제한 값을 섭취량으로 계산하였다.
(2) 도체조사
도체조사는 사양시험이 종료 후 도축하여, 0℃에서 18~24시간 동안 도체를 현수시켜 육량판정요인(도체중, 등 지방두께, 배최장근단면적)과 육질판정요인(근내지방도, 육색, 지방색, 조직감 및 성숙도)을 소도체등급판정기준에 의거하여 축산물등급 판정사가 평가하였다.
(3) 경제성 분석
도축한 시험축의 판정가격과 생산비를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총수입은 도체등급과 도체중을 고려하여 받은 정산금액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생산비는 송아지 가격, 사료비 및 기타비용으로 하였다. 수익은 총수입금에서 생산비를 뺀 값으로 하였다.
4. 통계분석
본 시험에서 얻어진 모든 성적들은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 software, 2012)를 이용하여 Duncan 다중검정으로 처리구간 유의성(p<0.05)을 검증하였다.
Ⅲ. 결과 및 고찰
1. 발육 및 사료섭취량
홀스타인 거세우의 출하월령별 체중, 사료섭취량 및 사료요구율은 Table 2와 같다. 출하월령이 18, 20 및 22개월령일 때 육우의 체중은 각각 702.9, 767.8 및 804.5 ㎏으로 출하월령이 늦어질수록 체중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일당증체량은 각각 1.32, 1.32 및 1.27 ㎏으로 18 및 20개월령 출하구에서는 같았고, 22개월령 출하구에서 다소 낮은 경향이었으나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Marti 등(2013)은 고수준의 농후사료를 급여한 홀스타인 거세우를 10, 12 그리고 14개월령에 출하하였을 때 발육은 출하월령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고 하였다. 한편 Kang 등(2004)은 홀스타인 거세우의 출하 시 체중 및 일당증체량에 있어서 육성기에 농후사료를 제한 급여하였을 때 19, 22 및 25개월령 체중은 각각 731.3, 776.5 및 811.9 ㎏이었고 일당증체량은 각각 1.25, 1.13 및 1.03 ㎏이었다고 하였으며, 이는 본 시험 결과보다 다소 낮은 증체량을 나타내었으나 비육기간이 연장됨에 따라 일당증체량이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어 본 시험결과와 비슷한 경향이었다. 또한 한우 거세우 연구에서도 출하시기가 늦어질수록 체중은 증가하고 일당증체량이 낮아진다고 하였다(Kim 등, 2011; Cho 등, 2009; Kwon 등, 2009, Kang 등, 2005). 일일 두당 건물섭취량은 각각 8.62, 8.94 및 9.24 ㎏으로 출하월령이 늘어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처리구간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하지만, 18개월령에 출하 시 20개월령 출하시보다 사료섭취량이 11.5% 감소하였고, 20개월령 출하시는 22개월령 출하시보다 9.6% 감소하여 전체 사료섭취량에 있어 출하시기가 빠를수록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증체당 사료요구량은 18, 20 및 22개월령에서 각각 6.53, 6.77 및 7.28 ㎏으로 출하월령이 늦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Marti 등(2013)은 홀스타인 거세우를 10, 12 그리고 14개월령에 출하하였을 때 농후사료 섭취량은 출하월령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10개월령 출하시에 12개월령 출하하였을 때 보다 9.5%, 그리고 12개월령 출하시에 14개월령 출하시보다 8.9% 감소되었다고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본 시험에서도 비슷한 경향으로 나타났다. 강 등(2004)은 홀스타인 거세우의 출하월령이 19, 22 및 25개월령이었을 때 건물사료섭취량은 각각 9.31, 9.52 및 9.60 ㎏이었고 ㎏ 증체당 사료요구량은 각각 7.48, 8.42 및 9.33 ㎏으로 출하월령이 늘어남에 따라 사료비가 증가하였으며, Cho 등(2009)과 Kim 등(2011)의 연구에서도 비육기간이 연장될수록 사료요구율이 증가한다고 하여 본 시험 결과와 일치하는 경향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 홀스타인 거세우의 비육기간 연장은 일당증체량은 감소하고 및 사료요구율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Table 2. The effect of slaughtering age on growth performance and feed intake of Holstein steer
2. 도체특성
홀스타인 거세우의 출하월령별 도체 육질특성은 Table 3과 같으며 도체중은 18, 20 및 22개월령 출하 시 각각 383.6, 447.5 및 451.6 ㎏이었다. 등지방두께는 7.3∼8.4 ㎜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18개월령 출하 시 다소 높은 경향이었다. 이러한 차이는 출하월령보다는 개체간의 차이인 것으로 사료된다. 등심단면적은 70.6∼73.8 ㎠ 로 출하월령이 늘어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육량지수는 62.1∼62.9로 출하월령간에 비슷하였다. 육량등급(A:B:C, %)은 20개월령 출하 시 각각 0:75:25로 B등급 출현율이 가장 높았으며, 18개월령 출하시는 각각 0:25:75로 C등급 출현율이 높게 나타났다. 육질특성에 있어서는 22개월령 출하 시 근내지방도가 2.3이었고 18, 20 개월령 출하 시는 각각 1.6, 1.6으로 나타났다. 근육 내 지방침착은 생후 18개월령부터 시작하여 비육후기인 22개월령까지 주로 많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비육기간이 늘어나면 근내지방도가 증가하였기 때문이다. 이전의 연구에서도 비육우의 비육기간 연장은 근내지방도를 향상시킨다고 보고되었다(Cho 등, 2009; Kwon 등, 2009). 육색과 지방색은 출하월령이 늦어짐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조직감, 성숙도는 출하시기별로 차이가 없었다. 육색은 주로 마이오글로빈(myoglobin) 함량에 의존하는데(Ibanez 등, 1995; Sakata와 Nagata, 1992) 쇠고기의 마이오글로빈 함량은 전체 육색소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마이오글로빈은 가축의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비육기간의 증가와 도체중의 증가는 육색소가 증가하여 육색 및 지방색에서 높아진 것으로 판단된다(Sanudo 등, 1996; Vergara 등, 1999). 육질등급(1+:1:2: 3,%)은 18, 20 및 22개월령에 출하하였을 때 각각 0:0:50:50, 0:12:12:76 및 12:0:50:38로 출하시기가 늦을수록 육질등급이 향상되었다. 따라서 출하월령별 육량등급은 20개월령이 좋았고, 육질등급은 22개월령 출하하였을 때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축산물품질평가원에서 2012년에 도축된 육우의 도체중은 399.8 ㎏, 등지방두께 5.7 ㎜, 등심단면적 73.0 ㎠, 근내지방도 1.8이었다고 보고한 내용과 본 시험결과를 비교하면 본 시험에서 등지방두께가 다소 높았으나 등심단면적과 근내지방도는 비슷한 경향이었다. 한편 Jung 등(1996)은 육우를 24개월령까지 비육하였을 때 근내지방도가 2.21이었다고 보고하여 본시험에서 22개월령에 출하하였을 때와 비슷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홀스타인 거세우의 출하시기별 도체특성에 있어서 육량특성은 20개월 출하 시 육질특성은 22개월 출하 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3. The effect of Slaughtering age on carcass characteristics of Holstein steer
3. 경제성 분석
홀스타인 거세우의 출하월령별 소득은 Table 4와 같다. 18, 20 및 22개월령에 출하하였을 때 사료비는 각각 2,195, 2,528 및 2,833천원으로 비육기간이 늘어남에 따라 사료비가 303∼333천원 증가하였다. 소득은 20개월령에 출하하였을 때 279천원으로 가장 높았으며, 18개월령 출하 시 102천원으로 22개월령 출하하였을 때 61천원보다 높았다. 이러한 이유는 22개월령 출하 시 육질등급은 향상되었으나 육질등급 향상에서 기대되는 수입보다 사육기간이 늘어남에 따라 사료비용이 더 많이 소요되었기 때문에 소득이 감소한 것이다. 한편 Kang 등(2004)은 홀스타인 거세우를 3개월령 부터 출하 시 까지 배합사료와 볏짚을 급여하여 비육시험을 하였을 때 22∼25개월령 사이에 출하하는 것이 소득이 가장 높았다고 하였다. 이는 사료가격이 낮고 도체가격이 높게 형성되었을 때는 가능하지만 근래와 같이 사료가격이 높고 도체가격이 낮을 때는 출하시기가 다르게 변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일반적으로 홀스타인 거세우에 있어서 비육기간이 늘어나게 되면 근내지방도가 증가하고 육질등급도 향상되지만 비육기간이 늘어난 만큼 사료비도 증가하기 때문에 경영비가 증가하기 마련이다. 따라서 사료가격이 높고 도체가격이 낮을 때는 비육기간을 늘리는 것보다 사육기간을 단축하여 사료비를 감소시키는 것이 소득에 보다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4. The effect of Slaughtering age on economic efficiency of Holstein steer (Thousand won/head)
Reference
2.AOAC. 2006.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210-219.
3.APGS. 2012. Grade rule for cattle carcass in Korea. http://www.ekape.or.kr/gradeinfo/statistics/.
4.Cho, W. M., Chang, S. S., Kim, H. C., Kwon, E. G., Yang, S. H. and Peak, B. H. 2009. Effects of forage source and shipping time on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Hanwoo steers. Kor. Grassland Forage Sci. 29:375-382.
5.Ibanez, C., Quintanilla, L., Irigoyen, A., Garcia-Jalon, I., Cid, C., Astiasaran, I. and Bello, J. 1995. Partial replacement of sodium chloride with potassium chloride in dry fermented sausage : influence on carbohydrate fermentation and the nitrosation process. Meat Sci. 40:45-53.
6.Jung, K. K., Kim, D. G., Sung, S. K., Choi, C. B., Kim. S. G., Kim, D. Y., Choi, B. J. and Yun, Y. T. 1996. Effect of castration on the carcass grade of Hanwoo and Holstein. J. Anim. Sci. Technol. 38:249-260.
7.Kang, S. W., Ki, K. S., Oh, Y. K., Kim, K. H. and Choi, C. W. 2005. Effects of roughage feeding type during the growing and early-fattening periods on growth performance, feed efficiency and carcass characteristics in Holstein Steers. J. Anim. Sci. Technol. 47:769-782.
8.Kang, S. W., Jeong, H. Y., Ahn, B. S., Oh, Y. K. and Son, Y. S. 2004. Effects of feeding type of concentrates during growing period and slaughter age on growth performance, feed efficiency and carcass Characteristics in growing-fattening Holstein Steers. J. Anim. Sci. Technol. 46:989-998.
9.Kim, B. K., Jung, D. J., Lee, J. H., Hwang, E. G. and Choi, C. B. 2011. Comparison of growth performances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Hanwoo bulls and steers of different slaughtering ages.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31:257-265.
10.Kwon, E. G., Park, B. K., Kim, H. C., Cho, Y. M., Kim, T. I., Chang, S. S., Oh, Y. K., Kim, N. K., Kim, J. H., Kim, Y. J., Kim, E. J., Im, S. K. and Choi, N. J. 2009. Effects of fattening period on growth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lipogenic gene expression in Hanwoo steers. Asian-Aust. J. Anim. Sci. 22:1654-1660.
11.Mark, D. R., Schroeder, T. C. and Jones, R. 2000. Identifying economic risk in cattle feeding. J. Agribus. 18:331-344.
12.Marti, S., Realini, C. E., Bach, A., Perz-Juan, M. and Devant, M. 2013. Effect of castration and slaughter age on performance, carcass, and meat quality traits of Holstein calves fed a high-concentrate diet. J. Anim. Sci. 91:1129-1140
13.Pyatt, N. A., Berger, L. L., Faulkner, D. B., Walker, P. K. and Rodriguez-Zas, S. L. 2005. Factors affecting carcass values and porfitability in early weaned Simmental steer: Ⅱ. Days on feed endpoints and sorting strategies. J. Anim. Sci. 83:2926-2937.
14.Sakata, R. and Nagata, Y. 1992. Heme pigment content in meat as affected by the addition curing agents. Meat Sci. 32:343-350.
15.Sanudo, C., Santolaria, M. P., Maria, G., Osorio, M. and Sierra, I. 1996. Influence of carcass weight on instrumental and sensory lamb meat quality in intensive production systems. Meat Sci. 42:195-202.
16.SAS. 2012. SAS/STAT Software for PC. Release 6.11, SAS institute, Cary, NC, USA.
17.The Statistics Korea, 2012. Livestock Production Cost. http://kosis.kr
18.Van Koevering, M. T., Gill, D. R., Owens, F. N., Dolezal, H. G. and Strasia, C. A. 1995. Effect of time on feed on performance of feedlot steers, carcass characteristics, and tenderness and composition longissimus muscle. J. Anim. Sci. 31:307-309.
19.Vergara, H., Molina, A. and Gallego, L. 1999. Influence of sex and slaughter weight on carcass and meat quality in light and medium weight lambs produced in intensive systems. Meat Sci. 52:221-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