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2287-3317(Online)
DOI : https://doi.org/10.12718/AARS.2013.24.2.97
한국 재래 수탉의 주령 및 체중에 따른 번식능력 비교
Comparison of Reproductive Ability by Age in Weeks and Body Weights of Korea Native Chicken Cock
Abstract
- 0001-01-0024-0002-2.pdf154.9KB
Ⅰ. 서론
인류공동의 유산으로 인식되던 유전자원이 생물다양성협약(Convention Biological Diversity, CBD)과 유전자원은 보유국의 자산으로 인정해야 한다는‘유전자원의 접근 및 이익공유’에 관한 나고야의정서(Access benefit-sharing, ABS)가 채택되면서 세계 각국은 유전자원의 확보 및 관리 등 산업적 이용에 막대한 예산과 인력을 투입하고 있다(Choi 등, 2012).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에서는 ‘우리맛닭’종자를 개발하여 보급하고 있으며, 2013 년부터는 종돈, 종계의 신품종 종자생산을 위한 Golden Seed Project(GSP)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우리나라 재래닭의 사육기원은 확실하지 않으나 동남아지역의 들닭이 가축화되어 약 2,000 년전 중국의 남부와 북부지방을 거쳐 유입되었거나 동남아지방에서 직접 도입되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1998). 우리나라 재래닭 품종의 모색은 적갈색, 황갈색, 회갈색, 은색, 흑색 및 백색 종 등이 있으며, 현재 사육되고 있는 품종은 갈색종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Kim 등, 1998). 문헌에 제시된 한국 재래닭의 체중은 수탉이 1.5~2.0 ㎏, 암탉이 1.1~1.7 ㎏이고, 평균 난중은 42 g 이며, 연간 산란수는 약 80~120 개 정도이다(Breed of Livestock, 1996).
우리나라 재래닭의 순수성 확립과 재래종을 이용한 실용화 및 산업화를 위하여 1992 년부터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을 중심으로 전국 각지에 흩어져 있던 재래닭을 수집하여 순수 계통을 확립하면서 재래닭 고품질 육용화 사업을 추진하게 되었다(Kang 등, 2010). 특히 오늘날 재래닭 유전자원의 보존과 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나라 재래닭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Kim 등, 2012).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 재래닭의 주령에 따른 수정률, 부화율 등 번식능력을 비교함으로써 적정 번식능력을 구명하고, 재래 수탉의 체중에 따른 수정란의 무게를 측정함으로써 한국 재래닭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Ⅱ. 재료 및 방법
1. 공시축
본 시험에 사용된 공시계는 국립축산과학원 가금과에서 유전자원으로 보존, 관리하고 있는 16 주령 재래닭의 한 카피본을 중복보존을 위해 2012 년 8 월 남원 가축유전자원시험장으로 이동하여 사육된 재래닭 적색(R), 갈색(Y), 흑색(L), 오골계(O), 회색(G), 및 백색(W)을 이용하였다. 재래닭 6계통은 각각 암컷 20 수, 수컷 2 수씩을 배치하여 총 132 수를 이용하였다.
2. 시험방법
재래 수탉의 선발은 각 계통 내 수탉의 평균 체중인 1.65 ㎏과 성장이 우수한 2.00 ㎏을 각각 1 수씩 선발하였다. 재래 수탉의 정액채취는 성성숙이 시작되는 20 주령부터 28 주령까지 매 2 주 간격으로 월, 화요일에 인공수정하기 직전에 실시하였고, 인공수정은 1 회에 0.02 ㎖이상의 원정액을 동일계통의 암탉 10 수에 대해서 오후 2-3 시에 개체별로 실시하여 다음날 집란 하였으며, 2 일간 수집, 보관된 종란은 난중을 측정하고, 부화기에 입란 후 수정률과 부화율을 조사하였다.
3. 사양관리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시험장에서 중복보존중인 16주령된 재래 암탉과 수탉을 케이지 1칸에 1수씩 수용하여 사육하였으며, 사육 단계별 사료급여 형태는 국립축산과학원 재래닭 사양 표준에 따라 시중에 판매하는 산란계 사료를 구입하여 급이 하였다.
4. 조사항목
(1) 수정률 및 부화율
수정률은 입란 후 7 일령에 검란하여 입란수에 대한 수정란수의 비율(%)을 표시하였고, 부화율은 수정란수에 대한 발생수수의 비율(%)로 산출하였다.
(2) 통계처리
본 시험에서 얻어진 모든 자료들의 통계 분석은 Statistical Analysis System(SAS release ver. 8.2, 2002)의 General Linear Model(GLM) procedure 를 이용하여 분산 분석을 실시하였고, 처리구간에 유의성은 Duncan`s multiple range-test(Duncan, 1955)를 이용하여 5% 수준에서 검정하였으며, 각 요인들의 상관관계의 유의성 검정은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를 활용하였다.
Ⅲ. 결과
1. 수정률 및 부화율
본 시험에서 재래닭 계통별 수정률과 부화율은 Table 1에 나타내었다. 재래닭 계통별 수정률을 살펴보면, 재래닭 백색(W) 계통과 갈색(Y) 계통의 수정률이 89.6%, 86.3%로 다른 계통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p<0.05), 재래닭 회색(G) 계통이 52.9%로 가장 낮게 조사되었다. 부화율은 재래닭 흑색(L), 백색(W), 오골계(O), 회색(G), 적색(R) 및 갈색(Y) 계통에서 각각 78.9%, 89.6%, 87.3%, 82.5%, 90.7% 및 84.9%로 조사되었으며, 재래닭 적색(R) 계통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의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Table 1. Fertility and hatchability of 6 strains of Korea native chicken
재래닭의 주령에 따른 수정률과 부화율은 Table 2 에 나타난 바와 같다. 수정률은 24 주령까지 71.6%로 낮게 조사되다가 26 주령에 78.3%, 28 주령에 86.6%로 높게 조사되었다. 부화율은 20 주령에 79.9%로 낮게 조사되었고 24 주령부터 87. 5%로 높게 측정되었으며, 26 주령에 90.7%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2. Fertility and hatchability at different weeks of age in Korea native chicken
2. 난중
재래 수탉의 주령별 인공수정 후 수집된 종란의 난중에 대한 결과는 Table 3 에 나타내었다. 재래닭 6 계통 수탉의 주령에 따른 종란의 난중은 22 주령에 재래닭 적색(R) 계통과 흑색(L) 계통이 각각 43.1 g 과 43.0 g 으로 다른 계통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24 주령 에서는 재래닭 적색(R), 오골계(O) 및 흑색(L) 계통이 44.2 g, 42.7 g 및 42.7 g 으로 다른 계통보다 우수하게 나타났다(p<0.05). 26 주령에서는 재래닭 흑색(L) 계통이 47.4 g 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재래닭 백색(W) 계통은 41.1 g 으로 가장 낮은 계통으로 나타났다(p<0.05). 28 주령에서는 48.2 g 으로 재래닭 적색(R) 계통이 가장 우수하였고, 재래닭 회색(G) 계통이 41.3 g 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p<0.05).
Table 3. Average egg weight at different weeks of age in 6 strains of Korea native chicken (g)
재래닭 6 계통의 주령별 난중을 비교한 결과, 재래닭 흑색(L) 계통과 적색(R) 계통이 22 주령부터 28 주령 까지 지속적으로 난중이 무겁게 조사되었고, 재래닭 백색(W) 계통은 조사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다른 계통에 비하여 난중이 가볍게 나타났다.
재래 수탉의 체중에 따른 주령별 인공수정 후 수집된 종란의 난중에 대한 결과는 Table 4 에 나타난 바와 같다. 재래닭 흑색(L) 계통과 오골계(O) 계통에서는 24 주령, 26 주령에서 수탉의 체중이 1.65 ㎏일 때 난중이 높게 나타났고, 재래닭 백색(W) 계통과 적색(R) 계통에서는 측정 4 회 중 3 회에서 재래 수탉 체중 1.65 ㎏ 시 난중이 높게 측정되었으며, 재래닭 갈색(Y) 계통에서는 전 기간에서 재래 수탉의 체중이 1.65 ㎏일 때 난중이 높게 나타났지만 유의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Table 4. Average egg weight at different weeks of age by Cock weight in 5 strains of Korea native chicken (g)
재래닭 5 계통의 수탉 체중에 따른 난중을 비교한 결과, 재래 수탉 평균 체중인 1.65 ㎏일 때 오히려 난중이 높게 측정되는 경향을 보였다.
Ⅳ. 고찰
본 연구에서 분석한 재래닭의 수정률과 부화율은 성계의 수정률과 부화율이 각각 86.0∼97.2%, 84.1%∼91.5%(Ansah 등, 1980; McCartney, 1976; Petitte 등, 1982)라는 보고와 비교해 볼 때 수정률에 있어서는 본 연구결과가 높게 나타났으며, 부화율에 있어서는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Park 등(2010)이 재래계와 산란겸용종, 육용계간의 3 원교잡종에서 수정률이 91.3~98.0%라고 보고한 결과보다 낮게 나타났고, 부화율 92.8~90.8%와는 비슷한 경향이었다. 또한 Korea Poultry Association (1994)에서 보고한 재래계의 수정률 89.2~91.0%보다 낮게 나타났고, 부화율 67.8~69.5%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Kim 등(2011)이 보고한 재래닭 7 계통의 부화율 67.9~92.5%의 결과와는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수정률과 부화율의 차이는 계통의 차이와 유전적인 요인, 그리고 조사시기의 환경적인 요인 등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재래닭 주령에 따른 난중에 대한 보고가 많지 않아 정확히 고찰하기가 어렵지만,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1998)에서 보고한 재래닭 5 계통의 96, 97 년의 21 주령 난중 31.3 g, 31.7 g 보다 높게 나타났고, Korea Poultry Association (1994)에서 재래닭 적갈색, 황갈색 및 흑색의 22 주 난중 35.8 g, 35.1 g 및 34.4 g 이라 보고한 수치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의 차이는 유전적 개량과, 사양 관리 및 사료 품질의 차이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사사
본 논문은 농촌진흥청 공동연구사업(과제번호:PJ008621)의 지원에 의해 수행되었으며, 이에 감사드립니다.
Reference
2.Choi, C. H. 1994. Study on the breeding strain and performance test of Korean native chicken. Korea Poultry Association. 13-39.
3.Choi, S. B., Byun, M. J., Kim, Y. S., Kim, M. J., Choy, Y. H., Kim, D. H., Jeong, E. G., Kang, K. S., Kim, K. H. and Kim, J. H. 2012. National management system for conservation of livestock genetic resources: An Overview. Ann. Anim. Resour. Sci. 23:142-148.
4.Duncan DB. 1955. Multiple rang and multiple F tests. Biometrics 11:1-42.
5.Kang, B. S., Hong, E. C., Kim, H. K., Yu, D. J., Park, M. N., Seo, B. Y., Choo, H. J., Na, S. H., Seo, O. S. and Hwangbo, J. 2010. Hatching and growing performance of three-way crossbreds of Korean native chickens. Korean J. Poult. Sci. 37:399-404.
6.Kim, H., Choi, J. S., Yang, B. S., Ko, Y. G., Kim, J. H., Choi, S. B. and Kim, S. W. 2011. A Comparison of reproductive ability on various Korean native chicken. Korean J. Poult. Sci. 35:391-394.
7.Kim, S. H., Lee, S. J., Kang, B. S., Choi, C. H., Jang, B. G. and Ohh, B. K. 1998. Study on the performance of Korean native chickens Ⅱ. A comparison of performance of various Korean native chickens. Korean J. Poult. Sci. 25:177-183.
8.Kim, Y. S., Kim, J. H., Suh, S. W., Kim, H., Byun, M. J., Kim, M. J., Kim, J. S., Lee, J. W. and Choi, S. B. 2012. Comparison of growth performance between Korean Native layer chickens and imported layer chickens at early rearing stage. Korean J. Poult. Sci. 39:283-290.
9.McCartney, M. G. 1976. The effects of semen dosage and insemination frequency on the fertility of broiler breeder hens. Poult. Sci. 55:669-671.
10.Ohh, H. G. 1998. Study on the establishing pure strain of Korean native chicke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5-22.
11.Park, M. N., Hong, E. C., Kang, B. S., Kim, H. K., Seo, B, Y., Choo, S. H., Seo, O. S., Han, J. Y. and Hwangbo, J. 2010. The Study on production and performance of crossbred Korean native chickens (KNC). Korean J. Poult. Sci. 37:347-354.
12.Petitte, J. N., Hawes, R. O. and Gerry, R. W. 1982. The influence of flock uniformity on the reproductive performance of broiler breeder hens housed in cages and floor pens. Poult. Sci. 61:2166-2171.
13.SAS Institute Inc. 2002. SAS/STAT User`s Guide: Version 8.2 SAS Institute Inc., Cary North Carolina USA.